대한상공회의소는 주요 산업별 협회 1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고환율 기조가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향후 전망을 기상도 형식으로 표현했을 때 조선·자동차·기계산업 등 3개 산업만 ‘대체로 맑음’이었다. 나머지 바이오·반도체·배터리·철강·석유화학(석화)·정유·디스플레이·섬유패션·식품산업 등 9개 산업은 모두 ‘흐림’으로 전망됐다. 고환율 흐름 속에서 ‘맑음’으로 전망되는 산업은 하나도 없었다.
지금도 어려운 석화·정유…‘엎친 데 덮친 격’
정유 산업도 고환율이 지속되면 환차손이 커질 수 있다. 원유 수입 시 은행이 우선 수입처에 대금을 지급하고, 일정 기간이 흐른 뒤 정유사가 은행에 대금을 상환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제약·바이오 산업도 원료의약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고, 해외 임상 시험이 활발히 이뤄지는 만큼 고환율에 따른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반도체, 제조원가·해외투자비 상승 ‘이중고’
특히 배터리 산업은 리튬·흑연 등 핵심 원자재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문제다. 김승태 한국배터리협회 정책지원실장은 “고환율에 따라 시설 투자 비용과 수입 원자재 비용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며 “업계에선 광물과 배터리의 판매가격을 연동하는 계약을 통해 환손실을 만회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외에 디스플레이·섬유패션·식품산업도 고환율 영향을 피해갈 수 없을 전망이다.
조선·자동차도 고환율 장기화 시 ‘역풍’
문제는 고환율이 장기화할 경우다. 조선사의 경우 해외 기자재 사용률과 라이선스 비용 상승 등으로 환율 상승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 자동차 역시 부품 수입가, 에너지 비용, 해상운임비 상승 등이 원가 상승 압박으로 돌아올 수 있다. 기계 업계에서도 “(장기화 시) 불황형 흑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이제 막 출범한 트럼프 2기에서 관세인상,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등이 시행되면 당분간 고환율이 지속될 것”이라며 “국내 경제가 고환율 파고에 휩쓸리지 않게 기업의 노력과 더불어 미국 등 주요국과 통화 스와프라인 확대 추진, 환율 피해 산업에 긴급 운영 자금 및 금융지원 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