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잠정조치 수역에 설치된 선란 1호. 중국 공산당 신문망 웹페이지 캡처. 인민일보. Zhang Xiaopeng (People's Vision)
"中 근해 자원 합리적 이용"
그러나 양국의 해양 경계가 획정되지 않고 관할권이 중첩되는 잠정조치 수역에선 일방적인 현상 변경 행위를 자제해야 한다. '영구적인 물리적 영향'을 초래할 경우엔 국제법 위반에도 해당된다.
중국이 향후 총 12개의 구조물을 한·중 잠정수역에 설치할 거란 우려도 외교가에선 제기된다. 중국 대사관은 이날 "최근 한국 언론 등에서 우려를 표명한 것을 유의하지만, 그 중 많은 내용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도 추가 설치 가능성에 대해선 별다른 반박을 하지 않았다.

한·중 잠정조치 수역에 설치된 선란 1호. 중국 인민망 웹페이지 캡처. 인민일보. Li Ziheng 신화 뉴스(Xinhua News Agency)
"이미 공개 보도…환경·안전 영향 없어"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주한 중국 대사관에서 내외신 기자가담회를 하는 다이빙(戴兵) 주한 중국대사. 박현주 기자.
주한 중국 대사관은 또 "중국 측이 관련 시설을 설치했을 때 이미 공개 보도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라고도 밝혔다. 앞서 중국 관영매체가 "선란 1호와 2호가 연어 양식에 성공했다"고 보도한 걸 순수한 어업 시설이라는 점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셈이다.
대사관은 이어 "중국 측은 심해 어업양식 시설에 대해 엄격한 환경 보호와 안전 조치를 취하고 있어 해양 환경과 항행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중·한은 계속해서 소통을 강화하고 이해를 증진시키며 이 문제를 무리하게 정치화하는 것을 피하고 황해를 평화, 우의, 협력의 바다로 함께 만들어 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