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포항시에 위치한 현대제철 공장.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이미 25% 관세를 발효했다. 연합뉴스
대한상공회의소는 1일 전국 제조 기업 2107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 60.3%는 트럼프발(發) 관세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했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고,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다.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한 기업 중에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이 24.3%,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이 21.7%를 차지했다.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기업 및 내수기업(17.9%), 중국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등 미국에 직접 수출을 하지 않는 기업도 영향권에 들었다. 미국 수출기업과 거래하거나 중국·베트남 등 해외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에 속해 있어 관세 영향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배터리(84.6%)가 가장 타격을 많이 받을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부품(81.3%), 반도체(69.6%)등 국내 주력 수출 품목을 다루는 기업들도 관세 영향권에 다수 포함됐다. 대한상의는 “미국은 지난달 12일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같은 달 26일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부과를 발표하는 등 업종별 관세 발표를 이어가고 있다”며 “자동차·부품 업종의 경우 지난해 전체 수출물량 중 대미 수출비중이 46%를 차지해 영향이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철강·금속 업종에서는 영향을 받을 것이라 응답한 비중이 64.7%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 팀장은 “철강, 알류미늄은 원자재보다는 파생 제품에 관세가 많이 부과돼 금속 자체에 관세가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김지윤 기자
관세 영향이 현실화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의 대응은 대체로 관세 동향을 모니터링 하는 데 그치고 있다. 특히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협력사 등 중소기업은 마땅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걸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중소기업 4곳 중 1곳(24.2%)은 미국 관세조치에 ‘대응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생산 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마련한 곳도 대기업(42.0%)에 비해 중소기업(27.4%)이 현저히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대한상의는 “부품 업종의 대부분은 독자적인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이라며 “정부가 미국 관세와 관련해 세부 정보를 공유하고 세제, 수출 금융 같은 자금 지원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
김 팀장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 간접적 영향까지 더해져 국내 제조기업이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민간 네트워크,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