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러 제재 1년 연장…우크라 평화협상 압박 카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도입된 대러시아 제재를 1년 연장했다. 

타스통신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공보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 14024호를 연장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21년 바이든 전 대통령이 발동한 이 명령은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선거 개입, 금융제재 위반 등을 이유로 개인과 기관에 제재를 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은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정상회담 모습.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오른쪽)과 블라드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은 2017년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정상회담 모습. AP=연합뉴스

이번 제재 연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러시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을 앞두고 “러시아는 움직여야 한다”며 휴전을 촉구했다. 친트럼프 인사인 릭 스콧 상원의원도 정치전문매체 더힐의 기고글에서 “푸틴은 트럼프가 바이든과 다르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또다른 정치전문매체 악시오스는 “이달 말까지 진전이 없을 경우 추가 제재가 단행될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이날 약 4시간 반 진행된 회담 이후 공식적인 내용은 공개되진 않았으나, 러시아에선 별다른 입장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회담을 앞두고 브리핑에서 “획기적인 돌파구는 기대하지 말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회담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을 “우크라이나 전쟁의 본질을 가장 잘 아는 서방 지도자”라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친화적인 태도는 유지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왼쪽)와 악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왼쪽)와 악수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미국 특사와 푸틴 대통령 간 회담이 진행된 같은 날 미국과 우크라이나 실무진은 워싱턴에서 희토류와 석유 등 광물 협정 초안을 두고 협상을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 측에서 우크라이나의 희토류, 석유뿐 아니라 광산 개발과 인프라까지 통제하려 하자 우크라이나 측이 반발하면서 회담은 소득 없이 “매우 적대적인 분위기”에서 끝났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특히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유럽으로 러시아 가스를 유럽으로 보내는 파이프라인에 대한 통제권을 넘길 것을 요구한 사실도 전해지면서 우크라이나 내부에선 ‘식민지 강탈’이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이 가스관은 우크라이나의 핵심 인프라이자 주요 에너지 경로로 평가된다. 


에너지 인프라 타격을 일시 중단하기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합의했지만 여전히 전선에선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인들의 참전 소식도 연일 이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11일 러시아 용병기업 바그너그룹 산하 ‘스톰-Z’ 부대에 배치된 중국인 용병들이 열악한 대우와 인종차별 등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이 ‘총알받이’로 소모되고 있으며, 계약 만료 후에도 전역이 거부되고 탈영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 당국에 따르면 중국인의 참전 규모는 최소 150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우크라이나 군에 의해 생포된 왕씨. 사진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인스타그램 캡처

우크라이나 군에 의해 생포된 왕씨. 사진 우크라이나 보안국(SBU) 인스타그램 캡처

영국, 독일 등 유럽 각국은 11일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 연락그룹(UDCG) 회의에서 210억 유로(약 35조원) 규모의 군사지원을 우크라이나에 약속했다. 우크라이나 측은 “최대 규모의 군사지원”이라며 감사를 전하면서도 패트리엇 방공시스템 10기 등 추가 방공 시스템을 요구하기도 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