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뉴시스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56개월 만에 최대치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확대 시행과 조기 대선, 기준금리 동결, 정부의 부동산 합동점검 등으로 부동산 시장 바로미터인 서울은 현재 ‘관망세'로 돌아섰다. 강남권에선 ‘부동산 프리즈(Freeze·얼어붙음)’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22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3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 신고는 9160건(4월 21일 기준)이다. 신고 기한(계약 후 30일)이 일주일가량 남은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7월(9223건) 거래량을 웃도는 것은 물론 2020년 7월(1만1143건) 이후 최대치 기록이 확실하다.
4월 시황은 정반대다. 봄 이사철이 끝난 이유도 있지만,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급락 중이다.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 신고는 22일 기준 1392건. 이 추세면 4월 전체 거래량은 3000건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서울 시내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에 매물 전단이 붙어있다. 뉴스1
연초 ‘상저하고’로 모였던 올해 부동산 시장 전망도 다시 살펴야 할 때다. 여러 돌출 변수로 시장 흐름을 예측하기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부동산 시장 관전 포인트로 크게 네 가지를 꼽는다. ▶5월 기준금리 인하 여부 ▶6월 조기 대선 결과와 집권 초반 부동산 정책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9월 말 시한인 서울시 토허제 해제 또는 재지정 여부다.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간판.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