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은 대기업, 3년간 2배 이상 확대

이자비용에 허덕이는 기업. 챗GPT 이미지 생성

이자비용에 허덕이는 기업. 챗GPT 이미지 생성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대기업이 3년새 2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석유화학 업종이 가장 허덕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302개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 합계는 총 2964조6970억원으로 3년 전인 2021년(2362조8248억원)과 비교해 25.5% 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00조3075억원에서 197조9420억원으로 1.2% 감소했다. 이자지급비용(이자비용)은 22조9820억원에서 54조2961억원으로 136.3% 급증했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 대비 영업이익을 의미하는 ‘이자보상배율’은 8.72에서 3.65로 하락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70.9%인 214개사는 3년 새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했고, 개선된 기업은 88곳에 불과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 이하인 기업은 2021년 34곳에서 2022년 44곳, 2023년 59곳, 지난해 73곳으로 3년 새 2배 이상 늘었다. 경영 활동을 통해 낸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할 수 없는 상태에 놓였다는 의미다. 특히 20곳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았다. 여기엔 롯데쇼핑·롯데케미칼·호텔롯데·롯데하이마트·코리아세븐 등 롯데그룹 계열 5개사, SK온·SK에코플랜트·SK네트웍스 등 SK그룹 계열 3개사, 이마트·신세계건설 등 신세계그룹 계열 2개사가 포함됐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37개사)에서 이자보상배율이 2021년 12.34에서 지난해 0.64로 급락하는 등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이 기간 석화 업종 매출은 총 405조8003억원에서 488조3527억원으로 20.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7조7309억원에서 4조7920억원으로 82.7% 급감했다. 이자 비용은 2조2468억원에서 7조5215억원으로 234.8% 늘었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고객사는 고정돼 있기 때문에 매출 자체는 유지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원가 비용이 올라 마진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철강·건설 업종도 좋지 않았다. 철강 13개사는 이자보상배율이 15.73에서 2.31로 급락했고, 건설·건자재 30개사도 8.13에서 1.64로 떨어졌다. 반면 조선·공기업·보험 등 3개 업종은 이자보상배율이 오히려 확대됐다.

이자비용 규모로는 현대차가 지난해 5조9324억원으로 가장 컸다. 2021년(1조9059억원) 대비 211.3% 급증한 수치다. 미국 조지아주 공장을 비롯해 최근 현대차의 대미 투자가 크게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뒤이어 한국전력공사(4조6974억원), (주)SK(3조8918억원), 한국가스공사(1조5145억원), SK이노베이션(1조4670억원), SK하이닉스(1조2766억원) 순으로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