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앨라배마대학교 졸업식에서 트랜스젠더 역도 선수에 대해 연설하며 특유의 과장된 표정을 짓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미국 전역과 유럽·아시아 등지에서 1일(현지시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된 노동절 집회는 수십만명이 운집해 관세와 이민 등 트럼프의 주요 정책을 비판하는 성토장이 됐다.
“사실 무근”이라더니…“현역 6600명 이상 동원”
AP통신이 이날 입수한 군 퍼레이드 세부 계획에 따르면 6월 14일 펜타곤에서 백악관까지 4마일(약 6.4㎞) 구간에서 진행될 퍼레이드엔 현역 군인 6600명 이상과 차량 최소 150대, 헬리콥터 50대, 민간인 2000명 가량이 동원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앨라배마대학교 졸업식 연설 도중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아ㅣㅆ다. AFP=연합뉴스
다음달 14일은 트럼프 대통령의 79번째 생일인 동시에 미 육군의 창립 250주년 기념일이다. 당초 미국 언론들은 지난달 7일 “백악관이 군사 퍼레이드 준비를 지시했다”고 일제히 보도했지만, 당시 백악관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퍼레이드 개최 계획 자체를 부인했다.
그러나 이날 AP가 입수한 자료의 작성일은 지난달 29일과 30일이다. 언론의 보도 내용을 공식 부인하고도 퍼레이드 계획을 그대로 추진해왔을 가능성이 크다.
미 육군은 당초 건군기념일 행사를 준비하면서 퍼레이드 계획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달 백악관의 지시로 시가 행진이 기념식 행사에 추가됐고, 이후 군이 구체안을 논의해 왔다. 실제 입수된 문건엔 퍼레이드가 ‘국가 특별 보안 행사’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파리 퍼레이드’에 반한 트럼프…1기 때는 실패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였던 2017년 프랑스 혁명 기념식에서 군사 퍼레이드를 본 뒤 직접 미국에서 프랑스보다 더 웅장한 퍼레이드를 열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당시 계획은 9200만 달러(약 1352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 문제와 전투 장비를 워싱턴에 집결시켜야 하는 문제, 탱크 등 중장갑 무기가 시내 도로를 운행할 때 생기는 도로 파손 등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치며 무산됐다.

2017년 7월 1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파리에서 열린 퍼레이드를 관람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퍼레이드를 본 뒤 2018년 미국에서 군 퍼레이드를 진행할 것을 지시했지만, 비용 문제 등으로 퍼레이드는 취소됐다. AP=연합뉴스
현지 언론들은 “군사 퍼레이드는 권위주의 국가들의 지도자들이 하는 것”이라며 “퍼레이드를 수년간 갈망해 왔던 트럼프를 올해는 막기 어려울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전국 ‘反트럼프 시위’에 걸린 “No King”
이런 가운데 노동절인 이날 미국 전역은 물론 전세계 곳곳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필라델피아에서 1일(현지시간) 열린 노동절 집회에서 한 남자가 "No King"이라고 적힌 옷을 착용하고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집회 현장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헌법까지 무시하는 과도한 행정명령으로 국정을 운영하는 방식을 비판하는 내용의 ‘핸즈오프’(Hands Off·손을 떼라)라는 구호와 함께, 권위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를 비판하기 위한 ‘왕은 없다(No Kings)’는 등의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유럽과 아시아에서 열린 집회는 관세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뤘다. 집회 참석자들은 “미국이 유럽의 물건을 원하지 않으면 우리는 다른 나라에 팔면 된다”고 외치는 등 관세 정책으로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질 위기에 몰린 상황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美 소비·성장 이어 생산 지표까지 경고등
한편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이 발표한 지난달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전달보다 0.3포인트 하락한 48.7을 기록했다.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한 수치로, 해당 지표가 50을 밑돌 경우 경기 위축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특히 생산지수가 48.3에서 44.0으로 큰폭으로 하락했다. 트럼프의 관세로 인해 미국 기업이 오히려 생산을 포기하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는 뜻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그는 미국 경제가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에 "모든 것은 바이든의 탓"이라고 주장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공개된 7개의 여론조사를 분석한 기사에서 “관세가 현재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한 문제를 야기하는 핵심 원인”이라며 “문제는 관세다, 바보야(It‘s the tariffs, stupid)”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