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즉석만남 미끼로 20대男 유인해 기절할 때까지 때린 10대들 유흥비를 마련하려고 SNS 공개 채팅방에서 즉석 만남을 미끼로 유인한 20대 남성을 폭행하고 금품을 강탈한 10대 3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27일 오전 0시 40분쯤 부산 부산진구 한 골목길에서 20대 남성을 목 졸라 넘어뜨린 뒤 주먹과 발로 얼굴 등을 여러 차례 때리고 현금과 휴대전화를 빼앗아 도주한 혐의를 받는다. 조사 결과 피의자들은 SNS 공개 채팅방에서 즉석만남 글을 올린 뒤 이를 보고 연락한 20대 남성을 유인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
범고래 닮은 '럭셔리 끝판왕'…베일 벗은 제네시스 'GV80 쿠페' 현대자동차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가 ‘GV80’ 부분변경 모델과 함께 제네시스의 첫 쿠페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GV80 쿠페’를 공개했다. 그레이엄 러셀 제네시스 최고브랜드관리자(CBO)는 이날 행사에서 "GV80와 GV80 쿠페를 제네시스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한 오늘은 제네시스 브랜드의 성장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우는 날"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GV80과 GV80 쿠페는 오는 10월 부산 국제영화제(4~13일), 제네시스 수지전시관(14~22일) 등에서 열리는 특별 전시에서 만나볼 수 있다.
-
최태원·노소영 이혼소송 항소심 11월 9일 첫 변론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첫 재판이 오는 11월 열린다.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가사2부(김시철 강상욱 이동현 부장판사)는 최 회장과 노 관장의 이혼소송 항소심 첫 변론준비기일을 오는 11월 9일로 잡았다. 지난해 12월 열린 1심은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재산분할로 665억원을 지급하고 위자료 명목으로 1억원을 지급하라고 판시했다.
-
'약골 펜스' 줄어드나…부산, 스쿨존 안전펜스 설치 기준 만든다 부산시는 스쿨존 안전펜스 설치 기준을 만들어 다음 달까지 각 구·군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27일 밝혔다. AㆍB등급을 받은 스쿨존에는 각 SB1 이상, SB1 등급인 자동차방호용 안전펜스를 설치한다. 당시 스쿨존 안전펜스 설치 기준이 따로 없는 상황에서 사고가 난 내리막길에 또다시 강도가 약한 보행자방호용 펜스를 설치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
'백종원 3대천왕' 그 집 아냐?…고향가다 발견한 전국구 맛집 로봇이 커피 내리고 간식도 만드는 휴게소, 반려견 테마파크가 있는 휴게소, 명성 깊은 지역 맛집을 품은 휴게소도 있다. 이를테면 경부고속도로 칠곡휴게소(부산 방향)에는 지역 대표 맛집으로 통하는 ‘한미식당’이 있다. 연휴 기간 옥산(부산 방향)‧천안호두(부산 방향)‧원주(부산 방향)‧인삼랜드(양방향) 등 휴게소에는 이동형 충전 차량도 투입한다.
-
아제르-아르메니아 분쟁 지역서 주유소 폭발로 125명 숨져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가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나고르노-카라바흐의 주유소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125명이 숨졌다. 26일(현지시간) 타스통신과 BBC 등에 따르면 전날 저녁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중심 도시 스테파나케르트의 고속도로 인근 주유소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주민 125명이 숨졌다. 사고가 일어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은 국제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에 속해 있지만, 12만명 가량의 아르메니아계 사람들이 자치 세력을 이뤄 살던 곳이다.
-
7월 출생아 1만9000명 역대 최저…인구 45개월째 자연 감소 지난 7월 출생아 수가 2만명 아래로 떨어지며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1만9102명으로 1년 전보다 1373명(6.7%)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은 1년 전보다 0.3명 줄어든 4.4명이었다.
-
“북·러 협력, 가장 우려”…러시아 '뒷배' 둔 北 연일 한·미·일 비난 조 대사는 2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한국문화원에서 진행한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동북아 안보 지형에 영향을 미칠 몇 가지 상황들이 주목된다"며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러시아와 북한의 협력 강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측간 밀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북ㆍ러의 협력이 한반도와 동북아를 넘어 전세계적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 대사는 이 가운데 특히 한반도 상황과 관련 "한·미동맹은 안보에 대한 어떤 위협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핵협의그룹(NCG) 등 한·미의 확장억제 시스템과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조했다.
-
“방사성 측정 정보 달라” 러시아도 '日 수산물' 수입 중단 검토 오염수 방류를 계기로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을 전면 수입 금지한 데 이어 이번엔 러시아가 제한조치 검토에 들어갔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27일 보도했다. 류징 중국 국가원자력기구 부주임이 ‘핵 오염수’로 지칭하며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비판하자,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경제안보담당상은 이를 ‘처리수’로 수정하며 중국 측이 후쿠시마 원전보다 더 많은 방사성 물질을 배출하고 있다는 점을 들며 날을 세웠다. 일본은 중국의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에 반발해 이달 초 세계무역기구(WTO)에 중국의 수산물 수입금지를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담은 서면을 제출하기도 했다.
-
"사과해" 4년간 수차례 민원에 밟힌 대전 교사…교장은 발 뺐다 학부모 악성 민원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대전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4년간 극심한 심리적 압박을 받았다고 한다. 대전시교육청은 27일 ‘고(故) 대전용산초 교사 관련 진상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숨진 초등학교 교사 A씨(42)에게 학부모 2명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민원을 16차례 제기했다고 밝혔다. 대전교육청은 해당 교장과 교감의 미흡한 대처가 ‘교육공무원법’ 상 성실 의무 등에 위배된다고 판단, 2개 학교 교장과 교감 등 4명을 징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