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남산 둘레길 그늘에서 한 시민이 땀을 닦으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3~5월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11.9도)과 비교해 1.3도 높은 13.2도로 집계됐다. 1973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높은 봄철 기온이다. 그 다음은 1998년(13.2도), 2016년(13도) 등의 순이다.
특히 3월(평년 대비 +1.6도), 4월(평년 대비 +1.7도) 두 달 동안 기온이 유독 높게 나타나며 봄철 고온 현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3월 11~13일, 4월 10~12일은 각각 사흘 연속 일 평균 기온이 역대 1위였다.

올해 봄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모식도. 자료 기상청
올해와 1998년, 2016년처럼 봄철 기온이 높았던 해는 모두 우리나라 동쪽·남동쪽에서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따뜻한 남풍이 자주 불었다. 올 봄은 여기에 더해 맑은 날씨까지 작용한 셈이다.

봄철 기온 상위 3개 연도 기상 수치 비교 표. 자료 기상청
반면 이번 봄 전국 평균 강수량은 관측 이래 6번째로 적은 154.9mm에 그쳤다. 평년(222.1~268.4mm)과 비교하면 턱없이 모자란 봄비가 내린 셈이다. 3~5월 세 달 간 강수일수도 17.9일로 역대 세번째로 적었다.

전국적인 봄 가뭄이 이어진 지난달 24일 강원 춘천의 한 저수지가 바짝 말라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연합뉴스
손꼽힐 정도의 높은 기온과 건조한 날씨가 함께 찾아오는 건 이례적이다. 그러나 이상 기후는 올해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났다. 인도, 스페인 등에서는 최고 40도를 훌쩍 넘는 고온 현상이 두드러졌다. 브라질, 남아공엔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해 수많은 인명피해가 났고, 폭풍·폭설·이상 저온 등도 세계 곳곳에서 이어졌다.
임 사무관은 "기온은 해마다 꾸준히 높아지는 양상이라 전 지구적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은 거라고 볼 수 있지만, 강수량은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직접적 연관성을 찾긴 어렵다. 해외에서 나타난 이상 기후도 국내 상황과 곧바로 연결할 순 없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