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고 씩씩하고 항상 긍정적인 아이였어요. 아이들도 좋아하고 봉사하는 것도 좋아하고 하고 싶은 것도 많았는데…”
지난 5일 캠퍼스에서 등교 중 쓰레기 수거 트럭에 치여 숨진 동덕여대 아동학과 3학년 양모(21)씨의 마지막 바람은 장기기증이었을 거라고 유족은 확신했다. 양씨의 언니는 8일 “평소 동생의 생각이었으면 이런 상황에서 무조건 장기기증을 할 것 같아 고민도 안 하고 서약서에 서명했다”고 말했다. 유족은 양씨가 사고 직후 뇌사 판정을 받으면서 장기를 기증한 뒤 장례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양씨가 7일 오후 7시 15분 사망 선고를 받으면서 기증은 못하게 됐다고 전했다.
사고는 지난 5일 오전 8시 50분쯤 동덕여대 중문에서 인문관으로 향하는 언덕에서 발생했다. 1교시 수업을 듣기 위해 등교하던 길이었다. 서울 종암경찰서는 8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트럭이 언덕 위 쓰레기 처리장에서 일을 마친 뒤, 내려오는 과정에서 양씨를 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A씨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유족과 동덕여대 학생회는 예견된 일이었다며 학교의 안전불감증을 비판했다. “언덕 꼭대기에 있는 쓰레기 집하장 위치를 옮겨달라. 차도와 구분해 인도를 만들어달라”는 민원을 수년 간 제기했지만, 학교 측이 안일하게 대응했다는 것이다. 언니 양씨는 “총학생회와 학생들이 몇 년째 학교에 안전 문제를 지적했다고 하는데, 학교가 제대로 개선하지 않아 이런 사고가 발생했다”며 “가장 안전해야 하는 학교 안에서 이런 사고가 난다는 것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학생들은 이런 말도 안 되는 억울한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학교가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동덕여대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조용히 살지 않을게’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학교의 자성을 촉구하는 글이 잇따랐다. 아동학과 학생회장 김송이씨는 “학교는 왜 사고 이후 이틀 동안 아무 말이 없었는지, 학교는 앞으로 어떻게 대처를 하고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는 어떻게 책임을 질 건지에 대한 내용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미애 동덕여대 총장이 사고 이틀이 지난 7일 홈페이지에 “학생 안전을 책임지는 총장으로서 다른 장소도 아닌 대학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참담하다”는 입장문을 올린 걸 두고서다.
동덕여대 관계자는 8일 “총장과 처장들이 오전에 대책회의를 열고 ▶쓰레기 집하장 이전 ▶정문 내 지상주차 전면금지 ▶오토바이, 킥보드, 자전거 등 차량 교내통행금지 ▶후문 차량통제 요원 배치 등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 기자
-
장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