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사장이 왜곡·편파방송 논란과 방만 경영에 대한 비판은 외면하고 KBS 수신료 분리징수 문제를 본인의 거취, KBS 사장 인사 문제로 치환한 데 대한 불쾌감도 표시했다. “그런 제안을 하는 자체가 황당하다. 납득하기 어렵다”고 하면서다.
![김의철 KBS 사장이 8일 오전 KBS 수신료 분리징수 권고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9/2dfbf17b-8f35-43bc-b1de-7a38565ac2af.jpg)
김의철 KBS 사장이 8일 오전 KBS 수신료 분리징수 권고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김 사장은 이 자리에서 “KBS의 미래와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전달하겠다”며 윤석열 대통령과의 면담도 요구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왜 대통령이 KBS 사장을 만나겠나. 그럴 리 없다”고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대통령실이 TV 수신료와 전기요금 통합징수 개선에 대한 의견을 묻는 국민제안 게시판. [사진 국민제안 홈페이지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9/990d9570-3024-4b1a-be9b-ba0a2a24e951.jpg)
대통령실이 TV 수신료와 전기요금 통합징수 개선에 대한 의견을 묻는 국민제안 게시판. [사진 국민제안 홈페이지 캡처]
대통령실은 지난 5일 “KBS 수신료 문제를 한 달간 국민참여 토론에 부친 결과 97%가 통합징수 개선에 찬성했다”며 방송통신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분리징수를 위한 관련 법령 개정과 후속 조치 이행을 권고했다.
권순범·김종민·이석래·이은수 KBS 이사 4명은 이날 오후 별도 회견을 열고 “이사회와 집행부의 동반 총사퇴만이 KBS의 생존을 시도해 볼 수 있는 유일하게 남은 방법”이라며 “구차한 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우리 모두 당장 사퇴하자”고 밝혔다. 남영진 이사장 등 총 11명의 이사진 가운데 4명이 “수신료 분리징수는 공영방송 KBS의 종언을 의미한다”며 이사진 총사퇴를 요구한 것이다. 이들의 회견엔 보수 성향인 KBS 노동조합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