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진원 전남 강진군수(왼쪽부터 두 번째)가 지난 4월 6일 세 쌍둥이 출산한 김미나씨 부부와 축하 영상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 강진군
“어린이집에 다니는 첫 딸에 이어 5개월 전에 얻은 두 아들과 딸을 경제적인 부담 없이 키울 수 있어 행복합니다.”
지난 4월 6일 세쌍둥이를 출산한 김미나(41·여)는 26일 “비교적 늦은 나이에 한꺼번에 얻은 아들과 딸을 강진군 도움으로 맘 놓고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 강진군에서 살아온 김씨는 올해 세쌍둥이를 낳은 후 6개월간 월 420만원씩, 총 2520만원을 받았다. 강진군이 지난해 10월부터 자녀 1명당 월 60만원, 생후 84개월까지 육아수당으로 최대 5040만원을 지급하고 있어서다.
김씨는 자녀 1명당 월 60만원인 3명의 육아수당(180만원) 외에도 자녀 1명당 월 70만원인 부모급여(210만원), 자녀 1명당 10만원인 아동수당(30만원) 등을 별도로 받았다. 강진에서 부모급여는 출산 후 2년간 0세와 1세 때 각각 월 70만원, 35만원씩 주며, 아동수당은 생후 96개월까지 지원한다.
세쌍둥이, 부모급여 등 2억1750만원 지원

지난 4월 6일 전남 강진에서 태어난 김미나씨 부부의 세쌍둥이. 사진 강진군
전남 강진군이 전국 최고 수준의 육아수당을 지급한 후 출생아 수가 50% 이상 증가하는 등 효과를 내고 있다. 강진군은 26일 “시행 1년이 다 돼가는 육아수당 제도가 인구 증가에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강진군에 따르면 육아수당 시행 전인 2021년 10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1개월간 83명이던 출생아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8월까지 128명으로 54.2% 증가했다.
전국 최고 ‘월 60만원’ 지급 후 출생아 2배

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설문조사 결과. 사진 강진군
강진군은 육아수당과 별도로 출산 시 공공산후조리원 이용료 154만원을 준다.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산후조리비로 1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또 출산용품을 제공하고, 아이 놀이 공간인 맘편한센터도 만들었다.
강진군 관계자는 “전국 최고, 최장기간 육아수당 지급 외에도 장난감도서관 사업과 오감발달 놀이교실 등 다양한 보육사업을 통해 출산에서 육아까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했다.

지난 4월 6일 전남 강진에서 태어난 김미나씨 부부의 세쌍둥이. 사진 강진군
강진군 육아수당과 출산 관계는 설문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강진군이 지난 8월 지역 육아수당 대상자(116명)와 임부등록자 53명 등 16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한 결과 ‘육아수당이 현재 출산에 영향을 주었다’는 응답이 66.4%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육아수당이나 돌봄 혜택 등을 확대하면 추가 출산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72.7%가 ‘그렇다’고 답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강진군 사례가 국가 차원에서 저출산 해결에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4월 6일 전남 강진에서 태어난 김미나씨 부부의 세쌍둥이. 사진 강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