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소취소’ 충돌한 羅·韓…“당원 자격 없어”vs“기소 檢총장이 대통령”

국민의힘 7ㆍ23 전당대회 책임당원 투표(19~20일)를 하루 앞둔 18일 밤 KBS TV 토론회에서 당 대표 경선 후보들은 한동훈 후보의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발언을 두고 충돌했다. 한 후보가 이날 오후 “신중하지 못했던 점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사과했지만, 나경원·원희룡 후보는  “당원 자격 없다”, “당에 대한 애정이 없다”며 한 후보를 거세게 몰아붙였다.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별관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TV토론에 나경원(왼쪽부터) 원희룡, 윤상현, 한동훈 후보가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별관 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TV토론에 나경원(왼쪽부터) 원희룡, 윤상현, 한동훈 후보가 참석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소 취소’ 발언의 당사자인 한 후보와 나경원 후보는 토론 내내 유독 부딪쳤다. 나 후보는 “이 사건으로 우리 당 27명 의원과 보좌진이 기소돼 아직도 재판받고 있다”며 “민주당의 무도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나 공수처법 통과를 저항하는 사건이었는데, 그 기소가 맞았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한 후보는 “그 기소를 한 검찰총장이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법에 따라 기소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때 당을 위해서 희생한 분들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성재) 법무부 장관에게 공소 취소 요청하는 걸 당론으로 정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나 후보 질문에 원희룡ㆍ윤상현 후보는 “찬성한다”고 밝힌 데 반해, 한 후보는 “법무부 장관이 정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러자 나 후보는 “한 후보가 아직도 검사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고 했다.

 
한 후보는 ‘공소 취소 요청’ 발언을 공개한 데 대해선 고개를 숙였지만, 공소 취소 자체는 법무부 장관이 할 일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 과정에서 두 후보 간에 “잘못된 기소를 다시 잡아달라는 요청을 사적 청탁인 것처럼, 한 후보가 검사의 닫힌 시각으로 이야기한다”(나경원), “개인적인 사건에 대해 그런 식으로 얘기할 수 없다. 그건 받아들이면 안 된다”(한동훈) 등 언쟁이 오갔다.

나 후보가 “아직도 개인적인 사건이라고 말씀하시는 걸 보면 사과의 진정성이 없다는 생각밖에 안 된다. 다시 한번 분노한다”고 하자, 한 후보는 “개인적 사건이라고 말씀드린 건 바로 잡겠다”면서도 “사건의 당사자가 그렇게 비공식적으로 요청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것”이라고 되받았다. 이에 나 후보는 “벽 보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고 했다.


 
원희룡 후보도 주도권 토론에서 “잘못된 기소에 대해선 바로 잡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며 “그런데 법무부 장관은 그냥 사건을 다루는 관리일 뿐이다? 이게 과연 동지가 맞는가”라고 물었다. 한 후보는 “장관의 임무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다. 법무부 장관이 당과 동지적 관계로서 임무를 수행했어야 된다는 데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다만 한 후보는 “(당 대표가 되면) 제가 당 대 당으로 민주당과 협상해서 이 문제를 풀겠다”며 “지금까지 당이 그런 노력을 안 했고 제가 처벌불원서 등 사법적 돌파구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 후보는 원 후보가 총선 전후로 도태우 후보에 대한 입장이 달라졌다고 비판했다. “(원 후보가) 오늘(18일) 도태우 후보 공천 취소는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SNS에 적었다. 그런데 지난 3월 방송 인터뷰에선 도 후보의 공천 취소는 당연하고 더 늦으면 안 된다”고 지적하면서다. 이에 원 후보는 “언론 등을 통해 공천 취소 소식을 들었고 공동 선대위원장으로서 힘을 싣는 차원이었다”며 “총선이 끝난 후엔 최소한의 절차도 안 지켰다는 것을 알게 돼 그에 따라 판단을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