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 아시아 여성 작가 중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 작가(54)는 10일(현지시간) 노벨상 연회에서 지난 7일 수상자 강연(lecture)에서처럼 여덟 살 때의 기억을 회상하며 소감을 밝혔다.
노벨상 시상이 끝난 뒤 이날 오후 10시 50분(한국시간 11일 오전 6시 50분) 노벨상 연회가 열리는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사 계단 단상에 오른 한 작가는 “우리를 서로 연결해 주는 언어, 이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품게 된다”며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한다”고 영어로 말했다.
한 작가는 “오후 주판 수업을 마치고 나오던 중,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더니 하늘이 열렸다”며 “비가 너무 강해서 아이들이 건물 처마 밑에 웅크리고 있었다”고 했다.
이어 “길 건너편에도 비슷한 건물이 있었고, 그 처마 아래에도 여기에서처럼 만큼의 사람들이 있었는데, 마치 거울을 보는 것 같았다”며 “쏟아지는 비와 내 팔과 종아리를 적시는 습기를 보면서 문득 깨달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나와 함께 어깨를 맞대고 서 있는 모든 사람들과 길 건너편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제각각 ‘나’로서 살고 있었다”며 “저와 마찬가지로 각자 이 비를 보고 있었고, 축축함을 그들도 느끼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 작가는 “경이로운 순간이었고,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한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한 작가는 “읽고 쓰는 데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면 저는 이 경이로운 순간을 반복해서 경험했다”며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깊은 곳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그 ‘실’에 맡기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했다”고 말했다.
또한 한 작가는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난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등은 수천 년 동안 문학에서 제기돼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으로 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가장 어두운 밤에는 우리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묻는 언어가 있다. 이 언어는 사람들과 생명체의 일인칭 관점을 상상하라고 한다”고 말했다.
한 작가는 “문학상이라는 상의 의미를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고 싶다”며 “감사하다”는 말로 소감을 마무리했다.
한편 이날 스웨덴 대학생 연회 사회자는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소개하게 되어 영광입니다”라고 한국말로 한 작가를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