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노멀'이 된 월세...서울·경기 빌라 월세 비중 사상 첫 절반 넘어

기자
김원 기자 사진 김원 기자
서울 시내 빌라 밀집지역. 연합뉴스

서울 시내 빌라 밀집지역. 연합뉴스

 
올 한해 서울과 경기지역 빌라(연립·다세대) 임대 시장의 월세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전·월세 12만7111건의 거래 가운데 월세 거래는 6만8116건으로 전체의 53.6%에 달했다.

 
이는 국토부가 통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전세사기 피해가 본격화하기 전인 2020년의 29.5%에 비해 24%포인트 이상 급증한 수치다. 올해 아파트의 월세 비중 41.6%와 비교해서도 크게 높은 수치다. 경기도 역시 올해 빌라 전·월세 신고 6만3520건 가운데 월세 거래는 3만2760건으로 전체의 51.6%에 달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보증금 미반환 사고로 불거진 ‘전세사기’의 여파로 볼 수 있다. 전세사기 피해가 본격화하면서 '전세 포비아(공포증)' 현상이 확산했고, 전세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로 돌리는 수요가 늘어난 것이다. 2022년 서울 빌라의 월세 비중은 39.5%, 지난해에는 48.1%로 증가했고, 올해 들어 50%를 돌파했다. 

이에 빌라 월세 가격도 상승세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월세통합 가격지수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102.0을 기록하며 2021년 6월 기준(100)일 이후 가장 높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의 전세 보증금은 올해 1~11월 평균 2억317만원으로 전년 동기(2억2172만원)보다 3.8%(845만원) 올랐다. 반면 월세 보증금은 올해 1~11월 평균 8920만원으로 지난해(7229만원)보다 23.4%(1691만원) 증가했다. 매월 지불하는 월세는 보증금을 1000만원 기준으로 맞추었을 때 올해 평균 84만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82만원)보다 월평균 2만원, 올해 1월(80만원)보다는 4만원 올랐다.

 
이처럼 빌라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확산하면서 미국계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등 외국계 사모펀드와 부동산 회사들의 국내 주거용 임대시장 진출이 최근 들어 확산하는 추세다. 정부가 최장 20년간 임대를 놓는 기업형 장기 임대 도입을 추진하는 것도 이유다. 기업형 자금력 갖춘 기업이 임대인으로 나서면 보증금 미반환 등 전세 중심의 임대차 시장의 부작용이 줄어들 것이란 기대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