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통상 참모 “미국 우선주의, 2기가 더 강경…빨리 소통해야”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통상규제 세미나-한국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대응전략'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산업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통상규제 세미나-한국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대응전략'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산업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가 한층 강력해지는 가운데 대미 무역 흑자국인 한국이 서둘러 대응 전략을 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6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트럼프 2기 통상규제: 한국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대응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통상정책 핵심 참모였던 스티븐 본 전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대행이 화상으로 참석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략을 분석했다.

본 전 대표대행은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우선 정책을 바탕으로 재선에 성공했다”며 “첫 임기에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일본 등과 새로운 무역협정을 체결한 것 등이 트럼프의 백악관 귀환이 가능해진 이유”라고 분석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이 보편관세 등 통상 규제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라면서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변화 등에 대해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본 전 대표대행은 “트럼프는 이번 승리로 1기 행정부 때보다 워싱턴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가졌고, 미국의 교역 상대 국가들에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이라며 “(한국은) 미 행정부 관계자들과 가능한 한 빠르게 소통에 나서야 한다”라고 말했다.

대한상의 국제통상위원장인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 역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반도체법과 IRA의 축소·철회는 물론, 모든 수입품에 대한 보편관세 부과, 전략물자 수출 금지 같은 통상 규제가 더 강력하게 추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재계에서는 대통령 탄핵 정국으로 트럼프 2기 출범에 대비한 민관 협력이 지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양국의 협력은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에 영향받지 않고 굳건히 유지될 것”이라며 “기업이 교역 투자를 통해 쌓은 협력 기반과 정부 간 네트워크를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계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통상위원장이 1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통상규제: 한국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계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통상위원장이 1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트럼프 2기 통상규제: 한국기업의 리스크 관리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울러 트럼프 2기가 출범할 경우 ‘수출통제 무기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 상무부가 첨단반도체·소프트웨어 등 일부 품목의 수출통제를 협상 카드로 쓸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날 미국 싱크탱크 루거센터의 폴 공 선임연구원은 “한국 기업이 조 바이든 정부 시기 대미 투자를 활발히 진행했지만, 정권 교체 이후에는 그간의 투자 실적이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할 수도 있다”며 “트럼프 1기와 달리 미 상무부의 수출통제가 무기화되면서 협상의 난이도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한국 조선업과의 협력을 직접 언급한 점은 향후 협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번 세미나에는 김앤장·광장·율촌·태평양·세종 등 국내 로펌 전문가들이 참석해 기업의 선제적 대응 방안을 조언했다. 이들은 대미 투자를 통해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 구체적인 통계를 준비해 미국 정계와 협력에 활용해야 한다며, 미국 측 요구사항과 한국의 필요사항을 포함한 다양한 협상 패키지를 사전에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트럼프 2기에서 시장 위축이 우려되는 전기차·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은 더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박주현 율촌 변호사는 “전기차·배터리 등은 향후 공개될 세부적인 정책 방향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수출 다변화와 원가 절감 계획 등 리스크 관리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