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 韓 당기는 中…최초로 '엑스' 쓰는 중국 대사

최근 부임한 다이빙(戴兵) 신임 주한 중국 대사가 이전 대사들과 달리 소셜미디어를 통해 활발히 입장을 개진하며 한국민과 소통하는 새로운 공공외교를 선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해 이전과 미묘하게 달라진 뉘앙스를 보였다. 탄핵 정국으로 불확실성에 빠진 한국을 중국이 끌어당기는 모양새로, 의도가 주목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로부터 신임장을 전달받은 뒤 다이 대사,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다이 대사가 이날 제정한 신임장에는 직전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의 이름이 한국 정상으로 적혀 있었다고 한다. 다만 외교부는 신임장에 한국 정상의 이름이 누구로 적혀 있느냐는 "국제 관례와 정부 연속성 측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로부터 신임장을 전달받은 뒤 다이 대사,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다이 대사가 이날 제정한 신임장에는 직전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의 이름이 한국 정상으로 적혀 있었다고 한다. 다만 외교부는 신임장에 한국 정상의 이름이 누구로 적혀 있느냐는 "국제 관례와 정부 연속성 측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中 "엑스는 처음…팔로워 늘길 바라" 

지난달 27일 부임한 다이 대사는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약 열흘 동안 ▶부임 직후 서면 연설(지난달 27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위로 표명(지난달 29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신임장 제정식(지난 7일) 등 세 건의 메시지를 올렸다.

다이 대사는 가장 최근인 지난 7일 메시지에서 "중국과 한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려는 중국 측 노력은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 정치 상황에 대해선 "현 정세 하에 한국 국민들이 국내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지혜와 능력이 있다고 확신하며 한국의 안정, 발전, 번영을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밝혔다.

8일 주한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대사관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위챗 등 소셜미디어 계정을 운영하지만, 대사의 엑스 계정을 생성해 소통의 주요 창구로 삼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사관 관계자는 이날 중앙일보에 "한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입장을 신속히 전하기 위해 다이 대사 부임 후 엑스 활동을 최초로 시작했다"며 "팔로워 수가 늘기를 희망한다"고 적극성을 보였다.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 대사의 소셜미디어 '엑스' 계정. 8일 현재 팔로워 수는 400여명이다. 엑스 캡처.

다이빙 신임 주한 중국 대사의 소셜미디어 '엑스' 계정. 8일 현재 팔로워 수는 400여명이다. 엑스 캡처.

트럼프 귀환 앞두고 정상 부임

지난해 11월 중순 내정 사실이 알려진 다이 대사가 해를 넘기지 않고 예정대로 한국에 부임한 것 자체가 한·중 관계에 청신호란 해석도 있다. 일각에선 지난해 10월 주중국 한국 대사로 내정됐던 김대기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임명 절차가 탄핵 정국 등으로 중단되며 중국도 주한 대사의 부임을 늦출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기 때문이다.  


탄핵으로 내부 혼란을 겪으며 정상 외교가 멈춘 한국을 중국이 오히려 가까이 두려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는 곧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대중 강경 정책을 예고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중국으로선 미국의 핵심 동맹인 한국과 관계를 원만히 유지해야 전략적 이익이라는 계산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빠짐없이 참석했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올해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점도 양국 간 협력을 추동하는 요인 중 하나다. 내년 차기 의장국은 중국이다. 

박근혜 탄핵 땐 "사드 빚 갚은 것"

이는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 가결 때와는 달라진 모습이기도 하다. 당시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박 대통령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빚을 탄핵으로 갚게 됐다'는 제목의 사설을 싣고 "천안문 망루에도 올랐던 박 대통령이 북한의 핵실험 이후 대외정책을 전환, 히스테릭하게 중국에 분풀이를 했다"고 보도했다. 또 당시 중국 뉴스포털 신랑망은 "황교안 (당시) 권한대행이 사드도 마땅히 탄핵해야 한다"고 했다.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도 이어졌다.

이는 북·중 관계의 이상 기류는 꾸준히 감지되는 것과도 비교된다는 지적이다. 양국은 지난해 수교 75주년을 맞았지만, 별다른 대규모 축하 행사도 없이 자나갔다. 

이어 지난 6일 북한이 두 달 만에 새해 첫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자 중국 외교부는 "새로운 논평이 없다"고 답했다. 통상 중국 외교부는 북한 도발 시 '각 당사자가 평화·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취지로 답변하곤 했다. 북한을 두둔하고, 오히려 책임을 한·미 등에 돌리는 전형적인 양비론식 대응이다. 그러나 이번엔 이런 도돌이표 답변을 굳이 되풀이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이례적이란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