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공장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27일 삼성전자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삼성전자 한국 본사 보유현금은 1조6537억원으로 최근 4년 새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023년 말 6조614억에 비해서도 크게 쪼그라들었다.
삼성전자의 설비 투자가 이뤄지는 곳 대부분은 국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53조6461억원의 설비 투자를 집행했다. 이 중 86%가량은 반도체(DS)부문 건물과 설비 신·증설에 투입됐다. 업계는 투자금의 상당 부분이 첨단 반도체 생산을 계획 중인 평택 캠퍼스에 투입됐을 거라고 본다. 올해 역시 예년 수준으로 50조 원대가 추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김주원 기자
돈 넣는 건 자유, 빼는 건?
매출이 큰 만큼 다량의 수익금도 매년 쌓이지만, 한국 곳간에 비하면 현금 이동의 유연성은 떨어진다. 해외법인에서 벌어들인 돈을 본국으로 가져 올 때는 배당금 형식으로 송금하면 되지만,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주원 기자
가장 큰 고민은 현지의 투자 압박이다.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폭탄을 퍼부으며 ‘미국에 공장을 지으라’고 압박하고 있다. 최근 현대자동차가 4년간 31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자연스레 삼성전자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텍사스 테일러시 제2공장 등에 기존 투자액(170억 달러)의 2~3배에 달하는 추가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약속했던 칩스법 보조금의 지급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투자 집행이 더뎌지는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대표적 해외 생산기지인 베트남 역시 투자 압박을 받고 있지만, 고민스럽다. 베트남 정부는 ‘첨단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한국 기업의 투자를 바라고 있다. 특히 2023년 기준 베트남 전체 수출의 18%를 차지하는 삼성전자에 베트남 정부가 거는 기대는 상당하다. 하지만 대미 무역 흑자국인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가 향후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매력도는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베트남 사업장. 사진 삼성전자
반도체 살리기 총력 쏟아야

김주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