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영국 언론사 '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뉴스1
발단은 지난 26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민주당 대표 출신인 정대철 헌정회장에게 건 전화 한 통이었다. 정 회장은 28일 중앙일보 통화에서 “권 위원장이 지난 주말 전화를 걸어와 (국민의힘 후보와 한 대행의 단일화를) ‘도와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 측은 통화에서 “민주당 출신 비명계 인사들까지 보수 빅텐트에 함께하면 좋겠다는 취지의 발언”이라고 했지만, 정 회장이 조만간 한 대행과 만나기로 한 상황에서 이런 권 위원장의 발언은 정치권에 미묘한 파문을 낳았다. 한 대행의 보수 후보 추대를 바라는 주류 친윤 세력이 김문수 후보 캠프에 대거 몰린 상황에서, 국민의힘 지도부 역시 이와 보조를 맞추는 것처럼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한동훈 후보는 “(권 위원장의 발언은) 적절하지 않다”고 반발했다. 이날 오전 충남 아산의 현충사 방문 뒤 취재진과 만난 그는 “경선 승리에 자신 없는 분들이 자꾸 말을 바꿔가며 (단일화) 조건을 붙여간다”며 “당 경선 진행 과정에서 자꾸 그런 이야기를 하는 건 패배주의”라고 덧붙였다.
그러자 권 위원장은 페이스북에 “야권 원로 정치인에게 향후 예상되는 반명 단일화나 소위 빅텐트 과정에서 우리 당을 도와달라 부탁하는 것이 뭐가 부적절하고 왜 패배주의인지 모르겠다”고 맞받았다.
국민의힘에선 두 사람의 신경전이 일회성 공방이 아닌, 한 대행 차출 움직임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표출된 것으로 본다. 국민의힘 경선이 온통 한 대행 대선 차출 가능성에 매몰되며 되레 당 후보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불만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중립 성향의 중진 의원은 “당 밖의 한 대행을 후보로 만들려는 움직임이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경선으로 우리 당 후보를 지우려는 참으로 이상한 경선”이라고 했다.
홍준표 후보도 한 대행과의 추후 단일화 필요성에 “이렇게까지 판을 만들고 안하면 더 이상해진다”고 하면서도, 당 일각의 한 대행 추대 움직임에 대해선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페이스북에 “탄핵당한 정권의 총리, 장관이 대선에 출마하는 게 상식에 맞느냐”며 한 대행과 김 후보를 동시에 겨냥했다. 두 사람은 윤석열 정부에서 각각 국무총리와 고용노동부 장관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