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
박찬대 "보궐 대선 비용 4949억…국힘 염치 있다면 출마 말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7일 "이번 대통령 보궐선거의 책임은 전적으로 국민의힘에 있다"며 "선거 원인을 제공한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지난 21대 국회에서 '재·보궐 선거 원인 제공에 대한 책임 및 제재 강화에 관한 법안' 8건이 발의됐는데 그중 7건이 국민의힘에서 낸 것"이라며 "자기 정당 1호 당원의 잘못으로 치러지는 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거듭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자신이 요청한 '2025년 대통령 보궐선거 비용 추계'에 대해 국회 예산정책처가 4949억4200만원으로 산출했다고 밝히며 "국민의힘이 염치가 있다면 이번 대통령 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조기대선 6월3일 실시…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정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대통령 선거를 6월 3일 치르기로 내부적으로 결정했다. 한 대행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파면 됨에 따라 오는 14일까지 5월 24일∼6월 3일 중 하루를 대통령 선거일로 지정해야 한다. 한 대행은 헌재의 대통령 파면 선고 직후에 노태악 중앙 선거관리위원장과 통화하고 6월 3일을 선거일로 지정하는 방안에 대해 공감대를 모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
조경태 "尹 절연 안하면 필패"…윤상현 "절연보다 무서운게 분열" 조경태 의원 역시 CBS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 (대선은) 필패"라며 "우리가 이기기 위해서는 비상계엄이라는 위헌·위법 행위로 탄핵된 대통령과의 절연은 필연적"이라고 강조했다. 권영진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조기 대선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을) 국민의힘과 한 묶음으로 소환해서 선거 구도를 만들려는 게 민주당의 전략"이라며 "정치적으로는 이제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윤상현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전직 대통령과의 자산과 부채를 같이 짊어지고 갈 수밖에 없다"며 윤 전 대통령과 선 긋기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반대했다.
-
김상욱 "난 탈당 의사 없다…당헌 위배 尹이 탈당해야" 자신을 향한 원내 의원들의 탈당 압박을 받고 있는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은 7일 "계엄 사태와 관련해 국민들에게 행동으로 하는 사과는 바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조치"라고 강조했다. 말로만 사과하는 것은 사과가 아니다"라며 "행동으로 사과를 해야 하는데, 행동으로 하는 사과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징계’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자진 탈당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현재는 자진 탈당 의사는 없다"면서도 "당이 더 이상 보수당이 아닌 모습이 됐을 때는 저도 생각을 해 봐야겠다.
-
'공천 헌금 의혹' 건진법사 "정치자금 아냐"…돈 오갈 때 이천수 동석 전씨는 2018년 1월 서울 강남 논현동에 위치한 주거지이자 법당에서 "윤한홍 의원을 통해 자유한국당 영천시장 후보로 공천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취지로 A씨로부터 현금 1억여원을 받은 혐의를 받는다. 현금을 전달한 A씨 변호인은 "정 전 소장이 영천시장 후보 공천을 받을 수 있도록 전씨에게 부탁하고, 1억원을 전달했다. 정 전 소장 측 변호인도 "전씨에게 돈을 전달한 사실은 있지만, 윤 의원에게 돈을 전달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
마블링 좋은 제주산 말고기...바다 건너 日식탁에 처음 오른다 제주도는 7일 국내 말산업 사상 처음으로 도내 농가에서 키운 비육마(肥育馬) 30마리를 전문 수출업체를 통해 일본으로 수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한국에서 일본으로 수출되는 말’ 위생조건이 개정, 승인된 이후 제주에서 이뤄진 첫 수출 사례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이번 일본 첫 수출로 제주 말산업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했다"며 "앞으로도 제주산 말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고 수출 시장을 다각화하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15세미만 희생자도 지원금…제주항공참사 특별법 국회특위 통과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특별법이 7일 국회 특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국회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특별법에는 12·29 여객기 참사 피해자에게 생활지원금과 의료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15세 미만 희생자에 대해 시민안전보험의 보험금 수준을 고려해 특별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