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에게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업무의 주요 방점은 AI로 모아졌다. 과기정통부는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AI기본법’(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의 시행령을 마련하는 등 후속 조치를 진행한다. 민관 합작투자로 국가AI컴퓨팅센터를 구축하고 데이터센터 구축과 관련한 불필요한 규제도 개선한다. 구체적인 종합대책은 다음달 개최 예정인 국가AI위원회 번체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국가AI위원회 예산은 우선 예비비로 26억원을 마련했다.
AI 기술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해 1조원 규모의 범용 AI(AGI·인간과 유사하거나 인간을 능가하는 인공지능)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범용 AI 기술개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신청을 준비할 계획이다. 이르면 2026년부터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81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도 조성한다.
양자 기술에도 힘을 준다. 과기정통부는 1000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단위)급 양자컴퓨터 개발 등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는 2032년 완성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된 ‘양자법’(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에 근거해 양자전략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양자 과학기술‧산업을 육성하는 5개년 종합계획 등을 마련한다. 지난달 출범 예정이었지만 계엄사태로 연기됐던 국가바이오위원회 역시 이달 중 출범할 계획이다. AI·양자·바이오 등 국가전략기술 분야 기업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펀드’도 조성한다. 민간에서 1조원 이상의 자금을 모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밖에도 AI 기술 성장과 함께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고자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추진한다. 우주 분야에서는 올해 11월 누리호 4차 발사가 있을 예정이다. 민간 주도 재사용 발사체 개발 사업에도 착수한다.
R&D 시스템은 조사 기준 및 절차를 대폭 완화해 기존의 추격형 R&D에서 선도형 R&D로 체질을 개선, 선도형 R&D 투자를 2027년까지 정부 R&D의 35%로 확대한다. 예타 조사는 폐지하는 대신 대형 연구시설 등 구축형 R&D에는 맞춤형 심사제를 도입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글로벌 기술패권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리더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AI 3대 강국을 달성하여 디지털 대전환을 주도하고, 단단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