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우크라, 주요 광물 다 달라"…약소국 상대 강도질 비판 나와
기존 협정의 희토류, 석유, 가스와 같은 광물에 대한 권리를 넘어 우크라이나에서 채굴할 수 있는 모든 금속과 개발 인프라에 대한 확실한 통제권까지 요구하면서도, 우크라이나가 원하는 안보 보장은 빠진 내용이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3일 전달한 광물협정 새 초안에서 '재건투자기금'을 통한 우크라이나 천연자원 통제 방안을 제시했다. 이 초안에서는 양국이 설립할 이 기금이 '우크라이나의 중요 광물 또는 기타 광물, 석유, 천연가스, 연료 또는 기타 탄화수소 및 기타 채굴 가능한 물질'을 통제한다고 명시됐다.
2025.03.29 10:27
4
-
美, 김일성 사망직후 "김정일 멍청하고 애 같아…제거될 수도"
북한을 46년 동안 통치한 김일성 주석이 1994년 7월 숨지자 스탠리 로스 당시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반기문 당시 주미 대사관 공사에게 "경제난이 계속돼 (김정일은) 일정 기간 이후 많은 도전을 맞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당시 북한 문제를 담당했던 한 중국 외교부 인사는 "김일성은 과거 중국 방문 시 덩샤오핑에게 아들 김정일 문제를 부탁(托孤·탁고)해 두었기 때문에, 덩샤오핑이 생존해 있는 한 중국 정부는 그의 의사를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중국은 김일성 사망 직후 빠르게 김정일 체제에 지지를 표했다.
2025.03.29 10:13
17
-
광화문 농성장 다시 찾은 김경수 "헌재 신속히 할 일 해야"
김 전 지사는 "광화문 광장에서 울려 퍼지는 국민들의 '윤석열 파면' 함성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의 최종 심판이 언제 나올지는 아직도 오리무중"이라며 "국민의 불안은 계속 높아지고, 불면의 밤은 너무 길어지는 이 상황이 대한민국이 처한 위기"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번 계엄과 탄핵 사태를 통해 대한민국에 두 번 다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정치·경제·사회 대개혁'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고 '윤석열 즉각 파면'이 그 시작"이라며 "헌재는 대한민국을 더이상 파국으로 몰아가지 않도록 해야 할 일을 미루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은 데 대해서는 "이번 사건은 명백히 야당 대표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었다"며 "법원이 판결을 통해 비정상을 바로 잡아줬다"고 말했다.
2025.03.29 10:04
0
-
[단독] 찬탄·반탄 충돌 막아라…헌재앞 '300m 완충구역' 만든다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 당일 헌법재판소(헌재) 인근에 탄핵 찬성·반대 집회 구역 사이 ‘완충 구역’을 설정한다. 28일 서울경찰청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 선고 당일 서울 종로구 헌재 인근 안국역 4·5번 출구 쪽 삼일대로 일대(남북방향)엔 탄핵 반대 집회가, 안국역 1·6번 출구 쪽 율곡로 일대(동서방향)엔 탄핵 찬성 집회가 신고돼 있다. 구체적으론 ‘헌재에서 100m 이내 진공 구역’을 설정한 뒤, 이를 중심으로 ‘찬탄 집회-완충 구역-반탄 집회’ 구조로 구역을 설정할 예정이다.
2025.03.29 10:04
70
-
민주 “헌재, 나라 망해가는 것 안 보이나…오늘이라도 기일 지정하라”
더불어민주당은 28일에도 헌법재판소를 향해 "언제까지 헌법 수호 책임을 회피할 작정인가"라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촉구했다. 이어 "헌정 질서 파탄의 위기와 산불 피해라는 중첩된 국가 재난을 극복해야 한다"며 "헌법 수호의 책무와 재난 대응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헌재는 오늘 중으로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일을 밝혀라"며 "산불 확산뿐 아니라 헌재의 선고일 미확정으로 인한 국민적 우려가 너무나 깊다"고 했다.
2025.03.29 10:04
1
-
이재명 무죄 후폭풍…'헌재 5:3설'에 '6월 선고설'까지 돈다
나아가 탄핵 반대(반탄파) 측의 익명을 원한 법조계 관계자는 "이재명 대표 무죄가 교착상태에 콘크리트를 부었다"며 "문 대행이 선고하지 않고 오는 18일에 퇴임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반탄파의 여권 관계자 역시 "보수 재판관의 마음을 돌리지 못할 경우 문 대행은 자기 손으로 기각 결정문을 쓰고 심판정에서 낭독해야 하는데, 절대 그렇게 하진 않을 것"이라며 "문 대행과 이 재판관이 떠나 6인 체제가 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헌재 헌법재판연구원장을 지낸 이헌환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도저히 그렇게까지 되리라 상상하지 않았지만, 지금 분위기로 봐서는 문 대행이 선고 없이 퇴임하는 위기 상태로 가고 있다"고 했다.
2025.03.29 09:23
0
-
"끝까지 함께"…5t 물 뿜는 미군 헬기, 지리산 적셨다
이날 투입될 헬기는 주한미군 소속 치누크(CH-47) 1대와 유에이치-60(UH-60) 블랙호크 3대, 국군 13대 등 군 보유 헬기 17대 등 총 43대와 인력, 장비를 집중투입해 남은화선을 잡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국방부는 경북·경남 일대 대형 산불 진화를 위해 병력을 계속 투입하고 있으며 추가 인원과 장비도 대기 중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오늘 (산불 진화를 위해) 나가는 인원만 1000여 명"이라며 "주한미군 헬기 4대를 포함한 군용헬기 49대를 투입해 잔불 제거, 의료 지원, 공중 살수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03.29 08:14
5
-
경북 초토화 시킨 주불 다 잡혔다…남은 건 지리산 방어전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지휘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상섭 산림청장은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은 28일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말했다. 경남 하동 지역에선 모한재·청계사·법성선원을, 경남 산청 지역에선 대원사·석남안사지·덕산사를 각각 방염 처리했다.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과 경남 산청·하동 등 2개 군 등 총 7개 지방자치단체에 각각 산불 피해 현장지원반을 편성했다.
2025.03.29 08:14
0
-
4만5000여㏊ 태웠다…'역대 최악' 경북 산불 6일 만에 진화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해 안동·영덕·영양·청송으로 번진 산불의 주불 진화가 일주일째인 28일 완료됐다. 28일 오후 5시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지휘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후 2시 30분 영덕을 시작으로 오후 5시부로 의성·안동·청송·영양까지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고 말했다. 경북 산불 진화율은 전날 오후 6시까지 63%에 머무르다가, 이날 오전 7시 85%까지 상승한 뒤 낮 12시 94%까지 치솟았다.
2025.03.29 08:05
0
-
빅터 차 “아무도 말 안 하지만…한미동맹 조용한 위기”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인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27일(현지시간) "한·미 동맹이 조용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했다. 차 석좌는 이날 ‘한국의 다음 스텝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진행한 온라인 대담에서 미 에너지부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한·미 고위급 접촉의 부재, 관세 문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의 아시아 순방 중 ‘한국 패싱’ 등을 거론하며 "아무도 제대로 얘기하고 있지 않지만 지금 한·미 동맹은 조용한 위기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차 석좌는 또 "엘브리지 콜비가 국방부 정책담당 차관이 될 것인데 그들(미 국방부)은 거의 확실히 한국에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9 07:05
1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