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ㆍ신한ㆍ하나ㆍ우리)의 4분기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총 2조4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1조3421억원)보다 81.1% 증가한 수치다.
KB금융은 지난해 4분기 2114억원에서 올해 4분기 6768억원으로 순이익이 220.1%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신한금융은 27.5% 증가한 7343억원, 하나금융은 35.1% 늘어난 621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금융의 4분기 순이익은 3983억원으로 다른 3곳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전년 동기(950억원)대비 319.4%나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내수 부진에도 금융지주들이 실적 호황을 이어가는 이유는 주력 계열사인 시중은행들이 당국의 가계대출 규제에 따라 가산금리를 높이면서 예대마진이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예금금리는 낮아지는 반면 대출금리는 높게 유지했다는 의미다. 5대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예대금리차는 지난 7월 0.43%포인트에서 10월 1.04%포인트로 3개월 연속 증가했다.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순이익 전망치는 총 16조9245억원으로 17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2022년 고금리 상황에서 거둔 사상 최대 실적(15조6503억원)을 훨씬 웃도는 규모다. 당국이 가계대출을 조이자 올해 상반기에 기업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리는 등 영업을 확대한 영향이다. 소비 부진, 수출 둔화로 저성장 기조가 굳어지는 가운데 ‘나홀로 호황’인 금융지주들을 대상으로 상생 압박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며 은행들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줄어들 수 있다. 경기 둔화로 대출 수요가 줄거나 개인ㆍ기업이 대출을 갚지 못해 부실채권 규모가 커진다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금융지주들은 연체율 관리 등을 통한 자본 건전성 강화, 당국의 ‘밸류업’ 정책에 따른 주주환원 강화와 같은 질적 성장을 내년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금융상품 판매수수료 등 비이자이익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