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호관세 코앞인데, 1분기 대미 흑자 1.4%↑...전체 수출 두달 연속 증가
다만 올해 대미(對美) 수출액과 무역수지 흑자가 지난해보다 오히려 늘어나는 등 미국에 대한 무역의존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어, 향후 관세부과로 인한 타격도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에는 1년 전보다 2.3% 증가한 111억3000만 달러로 역대 3월 대미 수출액 중 가장 많았다. 3월 수출이 호조를 보였지만, 1분기(1~3월) 누적 수출액은 1599억2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633억 달러)보다 2.1% 감소했다.
2025.04.02 00:37
0
-
美관세 시행 초읽기...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은 타격 영향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도 예외 없다"고 공언한 상호관세 발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제조 기업 10곳 중 6곳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일 전국 제조 기업 2107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상의는 "미국은 지난달 12일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같은 달 26일 자동차·부품에 25% 관세부과를 발표하는 등 업종별 관세 발표를 이어가고 있다"며 "자동차·부품 업종의 경우 지난해 전체 수출물량 중 대미 수출비중이 46%를 차지해 영향이 클 것"이라고 예측했다.
2025.04.02 00:37
0
-
상법개정안 거부권에 재계 ‘안도’..."자본시장법 개정에 건설적 제안 할 것"
대한상공회의소를 비롯해 한국경제인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등 경제8단체는 이날 오전 한 권한대행이 국무회의에서 상법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직후 입장문을 내 "상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이 행사된 것을 다행스럽게 평가한다"고 밝혔다. 경제단체들은 "상법 개정안은 주주가치 제고라는 입법 목적을 달성하기보다 신산업 진출을 위한 기업의 투자 저해, 행동주의 펀드의 경영권 위협 등 기업 경영 활동에 미칠 부작용이 커 우려가 있었다"고 짚었다. 이들 단체는 "상법보다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한 핀셋 처방이 기업의 합병·분할 과정에서 일반주주를 보호하는 데 효과적"이라며 "정부가 법 개정을 추진하는 만큼 경제계도 논의에 참여해 건설적인 제안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4.02 00:37
0
-
도수치료 받고 실손 못 받는다…윤곽 드러낸 '5세대 실손보험'
현행 4세대 실손보험에선 중증과 비중증 구분 없이 비급여의 자기부담률을 30%로, 한도는 연간 5000만원으로 적용한다. A씨가 10만원인 비중증 비급여 치료를 받았다고 가정하면 현행 실손보험(4세대 기준)으로 7만원을 보험사로부터 보상받고, 3만원의 치료비를 환자가 부담한다. 만일 A씨가 받은 비급여 치료가 체외충격파 치료라면 실손보험으로 보장받을 수 없어 의료비를 환자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2025.04.02 00:10
0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