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팝·K드라마 인기에 K뷰티, 프랑스 제치고 대미수출 1위
블룸버그는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이 17억100만 달러(약 2조5000억원)로 프랑스(12억6300만 달러·약 1조8000억원)를 앞질렀다고 전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화장품의 세계 수출 규모는 전년보다 20.6% 증가한 102억 달러(약 15조원)로, 2021년 92억 달러(약 13조5000억원)를 넘어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자문업체 MMP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화장품업체의 인수합병(M&A)은 총 18건으로 기록적 수준이었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2조3000여억 달러(약 3435조원)로 2017년 3조3000여억 달러(약 4869조원), 2023년 2조8000여억 달러(약 4134조원)에 못 미쳤다.
2025.03.31 16:54
3
-
케이크도 못 사먹겠네…홀케이크 4만원, 조각은 1만원 육박
홀케이크 가격은 2000원, 조각 케이크는 400원 올렸다. 조각 케이크의 경우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이고, 파베 초콜릿 케이크와 생블루베리 요거트 생크림은 8800원이다. 투썸플레이스는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과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유제품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급등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2025.03.31 16:43
0
-
2월 전국 '악성 미분양' 2만3722가구…전월 比 3.7%↑
2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수도권에서 7003호로, 전년 동월(8916호) 대비 21.5% 감소했다. 2월 착공 물량은 수도권 4449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26.8% 증가했으나, 서울은 894가구로 29.4% 감소했다. 준공 실적은 수도권에서 1만645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30.3% 감소했다.
2025.03.31 16:05
0
-
공매도 1년5개월 만에 재개…코스피 장초반 2.63% 급락
17개월 만에 재개된 공매도 첫날 코스피가 급락했다. 31일 오전 9시 20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7.28포인트(2.63%) 내린 2490.70을 기록하고 있다. 이날은 지난 2023년 11월 5일 금융위원회의 조처로 전면 금지됐던 공매도가 1년 5개월 만에 재개된 날이다.
2025.03.31 15:54
1
-
"벼랑 끝 자영업자 대출"…2금융권 연체율, 10~11년 만에 최고
특히 자영업 대출자 10명 가운데 6명은 대출을 3곳 이상에서 받은 다중채무자로, 이들은 평균 4억3000만원의 빚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금융권 전체 연체율의 경우 지난해 3분기 말 4.74%에서 4분기 말 4.69%로 0.05%p 소폭 내렸다. 한은은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사업자대출 보유자를 자영업자로 간주하고, 이들의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을 더해 전체 자영업자 대출 규모를 분석했다.
2025.03.31 15:38
0
-
2월 산업생산 0.6% 증가…소비 1.5%↑·투자 18.7%↑
2월 전산업생산과 소비·투자가 모두 감소 한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장기간 침체했던 건설업 생산이 7개월 만에 늘었고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순환지수도 모두 상승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全)산업생산 지수는 111.7(2020년=100)로 전달보다 0.6% 증가했다.
2025.03.31 14:32
0
-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에서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는 기업 수가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 100대 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은 기업은 총 55개사로 집계됐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매출 100대 기업은 2019년 9개사, 2020년 12개사, 2021년 23개사, 2022년 35개사, 2023년 48개사, 지난해 55개사로 매년 늘고 있다.
2025.03.31 14:32
0
-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 간담회를 열고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속한 산불 피해 복구와 피해 주민의 온전한 일상 복귀를 위한 재원을 충분히 확보하겠다"며 "이번 사태와 같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불 예방·진화 체계 고도화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최 부총리는 "국회 심사 과정에서 여야 간 이견이 있는 사업이나 추경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증액이 추진된다면 정치 갈등으로 국회 심사가 무기한 연장되고, 추경은 제대로 된 효과를 낼 수 없다"며 "4월 중에 추경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여야의 초당적 협조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2025.03.31 11:52
2
-
'안 맞을 순 없다, 덜 맞자'…트럼프 상호관세에 정부 전략 수정
트럼프 정부가 다음 달 2일 관세 정책 중 가장 강력한 ‘상호관세’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30일 통상당국은 다음 달 2일 미국이 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고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오는 4월 3일부터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는 명분으로 부과받기 시작할 ‘품목관세(25%)’, 같은 달 2일 "공정한 무역 환경을 만들겠다"는 명분으로 발표될 상호관세(α)를 더한 수치다.
2025.03.31 11:52
0
-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공매도 선행지표로 꼽는 대차거래 잔고의 주식 수가 최근 20억 주를 넘어서, 공매도 금지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기 때문이다. 3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공매도 재개일(31일)의 직전 거래일인 지난 28일 대차거래 체결 주식 수는 2억9104만 주에 달했다. 지난 2023년 11월 공매도 금지 이후부터 지난 27일까지 일평균 대차거래 체결 주식 수는 1771만 주에 불과했다.
2025.03.31 11:3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