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혹한에서 1300㎞ 건설"…알래스카 개발 58조 투자 득실은
에너지·통상 분야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측은 5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확정한 게 아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측은 "이 프로젝트는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고, 천연가스로 인한 잠재적 수익도 경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김태식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에 당연히 수출 기회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다만 미국이 자국 기업을 쓸지 한국 기업에 기회를 줄지조차도 협상 대상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05 23:56
0
-
관세 악재에도 코스피 사흘만에 반등…‘알래스카 가스주’ 급등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16% 오른 2558.13에 장을 마감하면서 나흘만에 반등했다. 장 개시 후 2550대까지 치솟았던 코스피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첫 의회 연설(한국시간 5일 오전 11시)을 앞두고 2530선까지 떨어지며 상승 폭 일부를 반납했지만, 이후 완만하게 상승 폭을 키워 나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의회 연설에서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거대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있다"며 "일본, 한국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수조 달러씩 투자하면서 우리의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했다.
2025.03.05 23:56
0
-
트럼프, 알래스카 LNG '한국 참여' 발언에…업계 “사업성 희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관련해 한국의 참여를 언급하면서 국내 LNG 업계가 분주해졌다. LNG사 한 임원은 "트럼프 2기 출범부터 얘기가 나온 미국 본토 LNG 수입과 관련해선 검토 중이지만 알래스카 LNG 사업은 금시초문"이라며 "트럼프의 일방적 바람에 가깝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른 LNG사 소속 한 연구원은 "10여년 전 알래스카 LNG 사업과 관련해 사업성을 검토한 적이 있다"면서도 "송유관만 1000㎞ 이상 깔아야 하는 대규모 공사다.
2025.03.05 23:56
17
-
반도체 석학들 “美·中 못 따라가...주52시간 예외, 국회가 제발 합의해달라”
반도체 분야 4대 학회장과 석학들이 반도체 산업 연구개발(R&D) 핵심 인력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를 호소했다. 이들은 5일 공동성명문을 발표하고 "반도체특별법에 주 52시간 특례제도 도입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며 "우리 반도체 산업이 지속적으로 국가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합의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이어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미국, 중국 등은 연구개발 인력의 근로시간 규제를 유연하게 운영하고 있다"며 "우리나라 반도체 연구자들은 경직된 근로시간 제도로 인해 세계적인 연구 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5.03.05 23:56
0
-
MS와 협력해 GPU 1만장 확보한 KT…김영섭 대표 “AI 잘 쓰는 법에 집중” [팩플]
MS와 함께 AX(인공지능 전환)를 위한 전문 조직을 만드는 한편,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AI(인공지능)인 ‘한국적 AI’도 내놓는다. ①AX 전문 조직 만들고: KT가 이달 신설하는 ‘AX 딜리버리 전문센터’(가칭)는 KT와 MS의 기술·사업 AX 전문가 300여명으로 구성된다. 정우진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장은 "현재 MS 파트너십을 통해 엔비디아 GPU H100 기준 1만장 이상을 확보했다"며 "한국에 더 많은 GPU를 확보하기 위해 MS와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5.03.05 20:56
0
-
코스맥스그룹, 지주사 대표에 올리브영 출신 허민호 부회장
코스맥스그룹은 지주사 코스맥스비티아이 대표로 허민호 전 CJ ENM 커머스부문 대표를 영입했다고 5일 밝혔다. 신임 대표를 맡은 허민호 부회장은 지난 2008년부터 10년간 CJ올리브영 대표를 지낸 화장품·유통 전문가다. 허 부회장은 CJ올리브영 대표 취임 첫 해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CJ ENM 커머스부문의 TV홈쇼핑과 온라인몰을 통합해 ‘CJ온스타일’을 출범시키는 등 변화하는 비즈니스 생태계에서 능력을 입증했다고 코스맥스그룹 측은 설명했다.
2025.03.05 20:35
0
-
'오픈AI 영리법인화 막아달라' 머스크 가처분 신청 기각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영리법인 전환 논의를 중단시켜 달라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4일(현지시간) 기각됐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연방지방법원 재판부는 머스크의 가처분 신청이 오픈AI의 영리법인 전환 논의를 막는 데 필요한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기각 결정했다. 머스크의 대리인은 신속 심리 계획을 환영하면서 "오픈AI CEO 샘 올트먼이 축재가 아니라 공익을 위해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면서 머스크의 너그러운 기여를 받아들였다는 것을 배심원이 확인해주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2025.03.05 20:21
0
-
'회장 취임 1년' 정용진, 이마트·스타벅스로 '성장 페달' 밟는다
사업군별 혁신과 성과를 독려하기 위해 신상필벌에 입각한 수시 인사 체제는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5일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은 1위 사업군에는 업계를 압도하는 시장 지배력을, 부실 사업군에는 완전 정상화를 주문하는 등 ‘투트랙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 회장은 "고객 만족이라는 그룹의 본질적 가치를 높이고 성장을 위한 가속 페달을 밟기 위해 신상필벌에 입각한 인사는 필수"라며 "변화와 도전으로 성과를 낸 조직 구성원에는 합당한 보상을 하며 계속 혁신을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2025.03.05 18:49
0
-
이재웅, 이재명 '엔비디아 발언' 때렸다 "타다금지법 반성부터" [팩플]
이재웅 전 대표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타다가 혁신의 꿈을 꿀 기회를 주세요’라는 제목의 글을 재공유하며 "민주당은 혁신기업을 저주하고 발목을 잡았던 과거부터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전 대표는 "당시 ‘타다’의 나와 특수 관계인 지분(약 30%)을 국민 모두와 나눌 테니 기업 혁신 금지 법을 통과시키지 말아 달라고 민주당과 정부에 사정했다"며 "자발적으로 성과를 나눌 테니 기회를 달라했던 기업에도 철퇴를 내리던 민주당이 제대로 된 반성도 없이 앞으로 30%의 지분(한국판 엔비디아 기업)을 국가가 확보하겠다고 한다면, 누가 그 진정성을 믿겠냐"고 비판했다. 이재웅 전 대표는 "대통령을 하겠다고 하는 이 대표와 과반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은 과거부터 반성해야 한다"며 "반성 없이 혁신 기업의 30% 지분 확보 운운하는 것은 의도와 달리 혁신 기업가를 좌절 시키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3.05 17:59
0
-
'연인·친구·동료'와 사는 55만 가구...주택청약 등 '정책 사각지대’
5일 국토연구원 따르면 가족이 아닌 연인·친구·동료 등과 함께 사는 ‘비친족 가구’가 54만5000가구(2023년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친족과 함께 사는 이유로는 ‘정서적 이유(38%)’가 가장 많았지만 ‘주거비 절감(26.9%)’, ‘생활비 절감(8.7%)’ 등 경제적 이유가 주요 동기로 작용했다. 이재춘 국토연구원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비친족 가구의 주택 청약, 주거급여, 주택 금융 등 정책 접근성을 높여 함께 살기, 상호 돌봄을 위한 주거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3.05 17:47
0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
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